한국에서 20대 청년들이 취업하기 어려운 이유는 구조적, 경제적, 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에 그 핵심 이유들을 정리해드릴게요:

1. 학력 인플레이션과 스펙 경쟁
대학 진학률이 70%를 넘으면서 학사학위의 차별성이 낮아졌고, 이제는 **대학원, 해외연수, 자격증 등 '추가 스펙'**이 기본처럼 여겨지는 상황입니다.
스펙이 부족하면 서류에서 탈락하고, 과도한 경쟁이 청년들의 취업 스트레스를 높입니다.
2. 경력 요구와 신입 미스매치
대부분의 기업은 신입도 실무 경험(인턴, 알바, 프로젝트 등)을 요구합니다.
하지만 졸업 전 학생들이 현실적으로 많은 실무 경험을 쌓기 어려워, 기업의 기대와 현실이 어긋나 있습니다.
3. 일자리 수보다 지원자 수가 많음
대기업·공기업·공무원 등 인기 직종에는 수만 명이 몰리지만 정작 채용 규모는 작습니다.
반면 중소기업은 인력이 부족해도 근무 조건, 복지 등의 이유로 기피되며 미충원이 발생합니다. → "일자리 미스매치"
4. 경제 불확실성으로 채용 위축
코로나19 이후 이어진 경제 둔화, 글로벌 경기 불안, AI·자동화의 영향 등으로 기업들이 정규직 채용에 소극적입니다.
특히 정규직 전환형 채용 축소는 20대에게 직격탄입니다.
5. ‘공무원/공기업’ 쏠림 현상
안정성과 연금 등의 이유로 공무원·공기업에만 몰리는 현상이 커지고, 이로 인해 취업 준비 기간이 길어지며 청년 실업률이 더 높아집니다.
대학에서 실무 교육이 부족하거나, 직무 경험 없이 막연히 취업 준비만 하는 경우가 많아 방향 없는 ‘스펙 쌓기’로 이어집니다.
실제로 기업이 원하는 핵심 직무역량을 갖춘 인재가 부족하다는 평가도 많습니다
결론:
20대 청년들이 겪는 취업난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구조적인 노동시장 문제와 사회적 기대, 교육 시스템의 미비 등이 얽힌 복합적 현상입니다. 정책적 접근뿐 아니라, 진로 설계, 직무교육, 경력 중심 채용 확대 등이 함께 필요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