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ruction, IT, Science, Economy etc

트럼프 관세폭탄, 일본·대만보다 다 크게 터뜨렸다...왜


앞으로 고삐 쥐고 약점 잡아 뒤흔들 것

앞으로 한국 경제 참혹할 것

(편집자주)

 

  한국이 일본·대만 등 경쟁국보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에 더 큰 충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월 미국의 대(對)일본·대만 상품수지 적자는 3월보다 늘었지만, 한국을 상대로 한 적자는 절반 가까이로 급감했다. 한국의 입장에서 미국 대상으로 무역 흑자 폭이 크게 줄었지만, 일본과 대만은 대미 흑자 규모가 오히려 늘어났다는 의미다.

 



8일 미국 상무부가 집계한 ‘국제 무역수지 통계’에 따르면 지난 4월 미국의 무역수지(상품+서비스) 적자는 616억 달러로, 전월(1383억 달러)보다 757억 달러 감소했다. 이는 2023년 9월 이후 1년 7개월 만에 가장 작은 적자 폭이다. 이 가운데 상품수지 적자는 3월 1513억 달러에서 4월 875억 달러로 적자 폭이 638억 달러 줄었다.

 

무역수지는 상품·서비스 수출액에서 수입액을 뺀 수치다. 한 국가의 무역에서 실질적으로 얼마나 벌어들였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여기서 상품수지 통계를 보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4월부터 본격적으로 교역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은 지난 3월 12일 철강·알루미늄에 25%의 품목 관세를 부과한 것을 시작으로, 4월 3일 자동차·부품 등에 품목 관세(25%)와 5일 10%의 기본관세를 연이어 부과했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지난 4월 미국의 한국 제품 수입은 98억 달러, 미국 제품의 한국으로 수출은 60억 달러로 상품수지는 38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3월(63억 달러)보다 적자 폭이 25억 달러 줄어든 것이다. 특히 관세 부과를 시작하자 미국의 한국산(産) 제품 수입은 121억 달러에서 98억 달러로 23억 달러(19.0%)나 줄었다.

하지만 한국과 대미 무역 규모가 비슷한 일본은 관세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일본은 오히려 같은 기간 미국으로부터 흑자 폭(62억→67억 달러·미국 입장에서 적자 폭)을 늘렸다.

 

특히 미국이 4월부터 부과한 자동차 품목 관세 영향에 한국 기업이 일본보다 더 취약했다. 4월 미국의 일본 생산 자동차·부품 수입(일본 입장에서 수출)은 49억 달러로 3월(52억 달러)보다 3억 달러가량 줄어드는 데 그쳤지만, 한국산 자동차·부품의 수입은 3월 48억 달러에서 4월 28억 달러로 약 41.7%가 줄었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한국은 올해 들어 대미 전기차 수출이 크게 줄어든 반면, 전기차 비중이 크지 않은 일본은 큰 변화가 없었다”며 “한국은 관세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감소)의 영향을 동시에 받아 수출 감소 폭이 상대적으로 컸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그는 “3월부터 현대차가 미국 조지아 생산 공장(HMGMA)에서 전기차를 본격적으로 생산하기 시작한 영향도 있다”고 덧붙였다.

 

반도체 등을 미국에 주로 수출하는 대만 역시 지난 4월 한국보다는 일본과 비슷한 흐름의 대미 무역 실적을 기록했다. 미국의 대대만 상품수지 적자(대만 입장에서 흑자) 폭은 3월 78억 달러에서 4월 96억 달러로 확대했는데, 이는 상품 수입이 124억 달러에서 146억 달러로 증가한 영향이다. 장 원장은 “대만의 대미 수출 대부분은 IT·반도체 제품인데, 반도체 품목 관세가 아직 부과되지 않은 데다 인공지능(AI) 확대 등으로 미국의 반도체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2090

kcontents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