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나랏빚 100조원 증가가 뉴노멀 된다면
*뉴 노멀(New Normal)
'새로운 표준'이란 의미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펼쳐진 저성장, 저금리, 고규제 경제 환경을 대변하는 경제, 경영 용어이다.
[사설]
이재명 대통령이 2차 비상경제점검회의를 열고 “속도감 있게 추경(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라”고 지시했다. 새 정부의 첫 추경안은 20조원 이상 규모로 편성되고, 1인당 25만원 상당의 지역 화폐 지급, 자영업자·소상공인 채무 탕감 등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경제성장률이 1% 미만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경기 상황이 빠른 속도로 악화돼 추경 편성을 통한 정부의 경기 진작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문제는 녹록지 않은 재정 상황이다. 지난 4월 국회를 통과한 13조8000억원 규모의 1차 추경은 70%(9조5000억원)를 빚(적자 국채)을 내서 조달했다. 2차 추경도 대부분을 빚으로 감당해야 한다.
그동안 연평균 15조~20조원 수준이던 적자 국채 발행액이 2020년 코로나 팬데믹 때 사상 처음으로 100조원을 넘겼다. 이후 80조원, 50조원대로 점차 줄여왔는데 올해 2차 추경까지 하게 되면 다시 100조원대를 넘길 것이 확실하다. 이렇게 될 경우 이전 빚을 갚기 위한 차환용 국채와 적자 국채를 합쳐 올 한 해 국채 발행액이 240조원에 육박하게 된다. 국가 재정이 매년 100조원씩 빚을 내다가는 금세 불량 재정 국가가 된다. 이는 국가신용등급 하락으로 이어진다. 신용등급 하락은 국제 금융 시장에서 금리가 올라가는 등 전방위적으로 나라 경제에 악영향을 미친다.
새 정부에서 추경 논의가 시작되자 벌써 채권 시장에서 장기채 금리가 오름세다. 국채 금리 상승은 정부의 이자 부담을 늘리고, 시중 금리를 상승시켜 경기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조선일보
케이콘텐츠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