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ruction, IT, Science, Economy etc

인터넷의 새로운 국면 '공간 웹' Here Comes the World Wide Web of Everything

Here Comes the World Wide Web of Everything The Spatial Web standard connects devices, robots, and AI agents

When it was invented in 1991, the World Wide Web connected an Internet that was overrun with many thousands of individual, fragmented digital documents.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represented a daring leap. It combined the age-old idea of hypertext with the Internet’s global reach. Tim Berners-Lee’s new language offered up a lingua franca for interconnected information.

https://spectrum.ieee.org/spatial-web-standard?utm_source=homepage&utm_medium=hero&utm_campaign=2025-07-26&utm_content=hero1

*월드 와이드 웹(WWW)

인터넷 위에서 작동하는 정보 시스템으로, 웹 브라우저를 통해 **문서(웹페이지)**들을 서로 하이퍼링크로 연결해 탐색할 수 있도록 만든 체계입니다

**공간웹 Spatial Web

현실 공간(3D 세계)과 디지털 정보를 위치 기반으로 연결하는 차세대 웹 기술입니다. 쉽게 말해:

“공간을 중심으로 한 웹”

→ 현실 세계의 위치, 사물, 사람, 환경 등과 웹이 직접 연결되는 웹 환경

여기에는 모든 것의 월드 와이드 웹이 등장합니다

Spatial Web 표준은 장치, 로봇 및 AI 에이전트를 연결합니다.

드론, 자율주행차, 홀로그램 프로젝션을 활용한 미래형 도시 교차로 렌더링입니다.

새로운 인터넷 표준은 공간 웹을 통해 다양한 기기와 AI 에이전트가 상호 작용하고 협업하는 것을 예상합니다.

드론 HTML IEEE 표준 협회 인터넷 월드 와이드 웹 스마트 시티

1991년 월드 와이드 웹(WWW) 이 발명되었을 당시, 수천 개의 개별적이고 파편화된 디지털 문서로 가득 찬 인터넷을 연결했습니다 .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ypertext Markup Language , HTML )는 과감한 도약을 상징했습니다. 고대부터 존재해 온 하이퍼텍스트라는 개념 과 인터넷의 세계적 영향력을 결합한 것입니다. 팀 버너스 리의 새로운 언어는 상호 연결된 정보를 위한 공통어(lingua franca)를 제공했습니다.

오늘날 소셜 미디어 혁명 에 힘입어 인터넷의 새로운 국면이 도래하고 있습니다. 공간 웹(Spatial Web)은 기기, 휴대폰, 웨어러블 기기 , 로봇, 드론 , 심지어 AI 에이전트 까지 다양한 물리적 세계를 연결할 것을 약속합니다 . 5월, IEEE 표준 협회 ( IEEE Spectrum 과 모기관을 공유 )는 공간 웹을 정의하는 일련의 표준( IEEE 2874-2025 )을 비준했습니다.

최초의 월드 와이드 웹은 HTTP 표준을 통해 원격으로 접근 가능한 HTML 파일을 가리키는 URL이라는 개념을 도입했습니다 .

이제 공간 웹은 새로운 정의 원칙을 제시합니다. HSML(Hyperspace Modelling Language)은 공간 웹에서 명사와 동사처럼 동작하여 개체의 기능과 역할을 설명합니다. HSTP(Hyperspace Transaction Protocol)는 공간 웹의 문법처럼 동작하여 각 개체의 기능과 상호 작용 방식을 정의합니다. 그리고 UDG(Universal Domain Graph)는 모든 개체와 그 활동 및 관계를 추적하는 디렉터리 역할을 합니다. [차트 참조]

공간 웹은 장치가 물리적 세계와 상호 작용하는 새로운 방식을 정의합니다.


공간 웹의 몇 가지 실용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잠시 후에 살펴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다양한 파일들이 어디에 저장될 수 있는지, 그리고 각 개체가 네트워크의 다른 모든 것들과 어떻게 최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지 등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먼저 기기와 AI 에이전트가 HSML, HSTP, UDG 표준을 통해 공간 웹을 활용하여 사람, 사물, 그리고 물리적 공간과 더욱 원활하게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몇 가지 구체적인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EcoNet, 온도 조절 장치와 배터리에 거래 성사 능력 부여

로스앤젤레스에 본사를 둔 AI 회사인 Verses우리가 일하는 곳에서는 최근 런던대학교 연구원들과 EcoNet이라는 프로젝트에 공동으로 참여했습니다. EcoNet은 두 개의 AI 에이전트 (한 명은 온도 조절 장치를 제어하고 다른 한 명은 벽면에 설치된 에너지 저장 배터리 시스템을 제어)가 함께 작동하여 공간을 편안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비용을 절감하고 배출량을 줄이는 테스트용 주택입니다.

AI 에이전트는 10분마다 편안함, 비용, 탄소 발자국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729가지 가능한 전략을 평가했습니다 . 온도 조절기는 거주자의 안전과 보온을 우선시했습니다. 배터리 에이전트는 사용량이 적은 시간대에 충전하고, 사용량이 많은 시간대에 저장된 에너지를 사용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HSML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상충되는 목표를 설명했습니다. 첫 번째 목표는 거실 온도를 22~25°C로 유지하는 것이었습니다. 두 번째 목표는 사용량이 많은 시간대에 집의 에너지 저장량이 50% 미만으로 방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었습니다. HSML 코드에서 이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엔터티", "목표", "활동"이라는 제목의 HSML 코드 3개 열 이미지(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새로운 공간 웹 표준은 위의 HSML(Hyperspace Modelling Language)을 정의하며, 이는 기기가 물리적 세계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정의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공간 웹 재단

공간 웹의 공유 디지털 네트워크 프로토콜인 UDG는 스마트 기기 들이 실시간으로 함께 작동하도록 지원했습니다 . HSTP 표준을 통한 안전한 통신 방식을 통해 시스템의 규칙과 명령에 따른 의사결정이 가능해졌습니다. 시스템은 변화하는 기상 조건과 에너지 가격에 자동으로 적응하여 에너지 비용과 탄소 배출량을 15~20% 절감했습니다. Verses는 3월 런던 튜링 연구소 에서 열린 2025 AI UK 전시회 에서 EcoNet을 시연했습니다 .

규모면에서 EcoNet과 같은 아키텍처는 전체 지역 사회가 지능형 유기체처럼 행동하여 집단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하고 보다 탄력적이고 재생 가능한 그리드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조정된 이동성 표준은 자율 주행차에 방향을 제시합니다.

구급차가 응급 상황으로 급히 이동하더라도, 구급차 운전자는 여전히 주변 교통 상황에 의존하여 사이렌 소리를 듣고 대응해야 합니다. 하지만 자율주행차는 구급차가 어느 방향에서 오는지, 그리고 제때 어떻게 구급차에 적절하게 대응해야 하는지 알지 못할 수 있습니다. 자율주행차는 공유된 맥락 없이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공간 웹은 HSML을 통해 이러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공유된 HSML 문서는 특정 지역이나 교차로에 있는 사물의 상태와 관계를 설명합니다. HSML 문서에 기록되는 속성에는 신호등의 색상, 위치, 동작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공유된 맥락을 바탕으로 구급차는 "경로에서 200m 이내에 있는 모든 자율주행차와 교통 인프라를 찾아주세요"와 같은 공간 웹 쿼리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HSTP를 사용하여 녹색 신호를 요청하고, 차량 경로를 변경하고, 연결된 장치를 통해 보행자에게 경고할 수 있습니다 .

드론이 HSML을 사용하여 동일한 지도를 읽는 방법

오늘날 드론의 고도 제한, 비행 가능 시간, 비행 금지 구역을 강제로 적용하기는 어렵습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대부분의 드론이 공장 출고 시 코딩된 고정된 규칙을 따르기 때문입니다. 드론은 변화하는 환경이나 역동적인 정책에 대응할 수 없습니다.

공간 웹은 드론이 책임감 있는 항행에 필요한 맥락을 제공합니다. 규제 기관은 HSML을 사용하여 "일몰 후 120미터 이상 및 병원 500미터 이내 비행 금지"와 같은 제약 조건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제약 조건은 UDG에 게시되며, 해당 공역에서 운항하는 드론은 실시간으로 이러한 제약 조건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드론은 이륙하기 전에 "배송 경로에 어떤 제한이 적용됩니까?"와 같은 공간 웹 쿼리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HSTP를 통해 드론은 영공 허가를 확인하고, 예정된 경로를 공유하고, 상황 또는 규정이 변경되면 비행 중에 조정할 수 있습니다.

동일한 공간 웹 인프라는 비상 상황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자연재해 발생 후, 드론은 제한 구역에 일시적으로 진입하여 수색 및 구조 활동 을 지원하거나 물자를 배송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은 안전하고 추적 가능한 프레임워크 내에서 가능합니다.

달 탐사차가 달 에 공간 웹을 가져올 것

공중에서 자율 시스템을 조율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우주에서는 훨씬 더 어렵습니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는 여러 기관, 대학, 계약업체와 자주 협력하며, 각 기관은 서로 다른 시뮬레이션 환경과 독점 플랫폼을 사용합니다. 여러 팀과 로버가 언젠가 달에서 어떻게 협력할지 테스트하려면 공통 언어와 로버 및 환경에 대한 공통 모델이 필요합니다. 공간 웹(Spatial Web)이 이를 가능하게 합니다.

한 데모에서 캘리포니아 패서디나에 있는 제트 추진 연구소(Jet Propulsion Laboratory) 와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노스리지 캠퍼스(California State University, Northridge) 의 로버 팀은 각각 HSML을 사용하여 자체 디지털 트윈 과 시뮬레이션 환경을 운영하여 달 구조 시뮬레이션을 조정했습니다. 가상 로버 하나가 분화구에 갇히면 HSML을 통해 갇힌 로버가 실시간 지오메트리, 센서 관측치 및 활동 데이터를 근처의 다른 로버들에게 전송할 수 있었습니다. 가상 로버들은 위치, 속도, 가속도, 질량과 같은 매개변수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물리 모델링 엔진 의 내부 모델도 공유했습니다 . 다시 말해, 이 로버 시뮬레이션은 HSML 기반 디지털 트윈이 (가상의) 달에서도 까다로운 환경에서 자율 협업을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지 보여주었습니다.

디지털 과수원은 공간 웹을 활용하여 무폐기물 공급망 구축

전 세계 농산물의 약 3분의 1은 접시에 담기기도 전에 상해버리며, 이로 인해 배출량이 늘어나고 수익이 감소하며 전 세계적 기아 문제가 심화됩니다.

하지만 공간 웹 표준을 사용하면 복숭아 과수원에서 HSML을 사용하여 각 상자의 숙성도, 온도, 유통기한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설명은 지역 UDG에 게시되며, 소매업체는 이를 통해 지역별 실시간 재고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공간 웹을 사용하면 구매자는 지역 네트워크에 "500km 이내에서 수확 가능한 복숭아 중 신선도 기준을 충족하는 복숭아는 무엇입니까?"라고 질문할 수 있습니다.

HSTP는 이러한 문의에 대한 협상, 배송 및 정책 확인을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구매자가 배송을 거부할 경우, 재배자는 과일이 폐기되기 전에 주스기나 근처 매장과 같은 새로운 구매자에게 배송을 재지정할 수 있습니다.

경직된 물류와 추측 대신, 공간 웹 공급망은 외부 수요와 내부 상황 모두에 더욱 적응적이고 지능적이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결과, 부패 감소, 높은 마진, 빠른 결제, 그리고 더욱 신선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프로토콜에서 실천으로 가는 길

공간 웹 표준은 아직 매우 초기 단계에 있습니다.HTML은 1991년에 발표되었지만, 첫 번째 브라우저는 1993년이 되어서야 등장했습니다.CSS(Cascading Style Sheets)와 같은 추가 웹 표준은 1996년이 되어서야 등장했습니다 .IEEE 2874도 단계적으로 유사하게 출시되고 있습니다.궁극적으로 우리가 마련하고 있는 기반은 페이지와 데이터 파일이 아니라 사람, 장소, 사물을 포괄하는 공간 웹의 길을 열어줍니다.

표준은 배경으로 사라질 때만 성공합니다.이메일을 읽을 때 아무도 TCP/IP 표준 에 대해 생각하지 않지만 , 이메일은 보내거나 받는 모든 메시지에서 이러한 표준에 의존합니다.마찬가지로, 일반인은 HSML, HSTP 또는 UDG와 같은 표준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할 필요가 없습니다.공간 웹의 이러한 구성 요소는 이전의 다른 프로토콜 및 표준과 마찬가지로 모두 간단히 백그라운드에서 어려운 통신 및 계산 작업을 수행합니다.

그렇다면 HSML, HSTP, UDG 자산은 궁극적으로 어디에 있을까요? 모두 어딘가의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어 있을까요? 아니면 이러한 다양한 디지털 파일들이 개별 기기와 사물 인터넷 노드에 분산되어 있을까요?

안타깝게도 이러한 중요한 질문에 대한 단일한 답은 없습니다. 한편, 월드 와이드 웹(WWW) 역시 완전한 형태로 출시되지 않았습니다. 초창기에는 새로운 표준과 기술의 시범 구현을 시도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웹처럼 진정으로 광범위하고 즉각적이며 전 세계적인 규모로 구축된 사례는 없었기 때문입니다.

공간 웹의 경우, IoT 기기 와 같은 간단한 에이전트가 HSML 파일 및 기타 공간 웹 자산을 기기 내에서 호스팅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시티 나 산업 시스템과 같이 더 복잡한 환경에서는 클라우드 서버 나 공유 스토리지 시스템이 더욱 원격적이고 클라우드 기반의 HSTP, HSML 및 UDG 배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간 웹 구현 방식이 완전 원격이든 완전 지역화든 사이버 보안은 여전히 핵심 우선순위입니다. HSML, HSTP, UDG 표준은 분산 식별자를 통해 신원, 접근 및 정책 시행을 내장합니다. 또한, HSTP 표준은 모든 거래에 대한 서명 및 감사를 보장합니다.

궁극적으로 공간 웹 구축의 또 다른 측면은 수십억 개의 엔티티와 에이전트를 관리할 수 있도록 확장 가능한 레지스트리가 될 것입니다. 이는 향후 공간 웹 구현에서 해결해야 할 더 크고 나중의 문제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간 웹의 초기 구현 단계에서도 우리는 이미 이러한 복잡한 문제들을 안전한 표준 기반 인터페이스로 추상화했습니다.

월드 와이드 웹을 정의한 표준은 정보를 연결했습니다. 공간 웹은 물리적 세계와 그 안에서 작동하는 수많은 기기 및 AI 에이전트를 상호 연결하기 시작할 것입니다. 새로운 공간 웹 표준과 가정, 거리, 하늘, 그리고 (가상의) 달에서의 시범 운영을 통해, 점점 더 상호 연결되는 공간 웹의 미래는 더 이상 이론적인 것이 아닙니다. 표준화된 공간 웹은 오늘날 HTML만큼 현실적이고 실현 가능합니다.

Here Comes the World Wide Web of Everything The Spatial Web standard connects devices, robots, and AI agents

https://spectrum.ieee.org/spatial-web-standard?utm_source=homepage&utm_medium=hero&utm_campaign=2025-07-26&utm_content=hero1

https://youtu.be/frRO4axCpqs

kcontents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