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인의 정신건강, 이제는 분노에 주목해야 할 때
그야말로 분노가 만연한 한국 사회이다. 최근에 서울대 행복연구센터에서 발표한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보았다. Psychological Trauma지에 발표된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 성인 중 무려 47.3%에서 울분(鬱憤)이 지속 또는 증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doi: 10.1037/tra0001610). 울분의 사전적 정의는 ‘답답하고 분함’이다. 그리고 이 답답하고 분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정신장애를 화병(火病)이라고 한다. 화병은 한국의 문화관련증후군(culture-bound syndrome)으로 여겨지는데, 화병은 답답하고 분한 마음이 해소되지 않아, 억울하고 분함이라는 대표적인 심리 증상과 함께, 가슴 답답함, 위로 열이 치밀어 오름, 목이나 명치에 무언가 막고 있는 느낌, 두통, 어지럼증, 소화장애, 불면 등의 신체 증상도 함께 발생하는 병이다. 혹자는 화병을 ‘옛날 병’이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그렇지도 않다. 필자의 조사에 따르면, 한국 MZ 세대에서의 화병 유병률은 약 36%로, 젊은 세대에서도 화병은 매우 흔한 정신건강 문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화병은 그 자체로도 개인의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해하지만, 다양한 신체 증상을 동반하여 (오늘날 문제가 되고 있는) 사회의 의료 부담을 가중시킨다. 필자의 연구에 따르면, 화병 증상이 자살사고의 존재와도 유의한 관련이 있을 정도로 개인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의 중요한 건강 문제이다. 하지만 이런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정신건강실태조사와 같은 전국 조사에서는 부족하게 조사되고 있는 것이 이 분노, 그중에서도 특히 분노를 억제하고 참는 것과 관련된 화병이다. 비록 소아·청소년 대상 정신건강실태조사나 성인 대상 정신건강실태조사에서 분노 문제를 조사하고 있기는 하나, 주로 분노 조절의 어려움이나 충동 조절의 어려움 등, 분노 표출(anger-out: 화를 참는 것이 어렵다)과 관련된 조사에 국한된다. 하지만 더 많은 한국인들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충분히 해소되지 못한 분노 또는 불평등과 불공정을 견뎌내고 있는 분노 억제(anger-in: 화를 많이 참고 있다)와 관련된 문제가 아닐까? 필자는 이러한 문제, 즉 대규모 역학조사에서 화를 참아내고 있는 것에 기반한 정신건강 문제가 부족하게 조사되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머신러닝을 사용해 단축형 화병 스크리닝 척도(2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화병의 존재를 스크리닝)를 개발하여, 향후 대규모 역학조사에서 화병을 빠르게 스크리닝하는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권찬영 동의대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교수
케이콘텐츠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