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빠르게 달리고 무게를 더 많이 드는 것보다 관절 보호가 운동의 최우선 순위가 되어야 한다.
나는 평생 운동광이었다. 그러나 60세가 된 지금도 언덕을 전속력으로 뛰어오르고, 박스를 뛰어넘으며, 10km를 달리고, 무거운 웨이트를 들어도 관절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 스트레칭도 잘 하지 않았고 요가는 질색이었지만, 지금까지는 별 탈 없이 잘 지내왔다.
Why Protecting Your Joints Should Be Your Number-One Workout Priority
https://www.gq.com/story/joint-health-workout-1
edited by kcontents
건강과 피트니스 전문가들과 이야기를 나눠본 결과, 내 관절이 지금까지 잘 버텨온 이유는 바로 ‘평범함’ 덕분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나는 학교 운동부에 뽑히지도 않았고, 최고가 되거나 기록을 깨거나 한계에 도전하겠다는 욕심도 없었다. 느긋하게 7km를 조깅하고, 벤치프레스 10개씩 평범하게 세트를 반복했을 뿐이다. 그런데 이게 장기적으로 얼마나 유익한 일이었는지는 전혀 몰랐다.
맥길은 이렇게 설명한다. “우리 몸의 모든 시스템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스트레스를 필요로 합니다. 스트레스는 몸을 자극하여 적응을 유도하고, 적응이 이루어질 때 신체는 더욱 강해집니다.”
“하지만 ‘스트레스 임계점’이란 게 있어요. 그 임계점을 넘어서면 미세 손상이 축적되어 만성적인 허리 통증이나 피로골절, 힘줄 손상 같은 문제가 생깁니다. 이건 몇 년간 지속될 수도 있어요.”
다음은 전문가들이 말하는, 20~30대에 어떤 식으로 운동해야 60대 이후에도 관절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조언이다.
ISP Health PLLC - Integrated Solutions
웨이트 트레이닝 중 관절을 보호하는 방법
관절을 보호하면서도 근력을 향상시키고 싶다면, 목표에 맞는 충분한 강도로 훈련하고, 기술적으로 스트레스를 잘 분산시키는 방식을 채택해야 한다. 골프든 종합격투기든 자신에게 필요한 것 이상으로 무게를 드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왜 필요한 이상으로 힘을 기르려는가? 굳이 그 ‘스트레스 임계점’을 넘길 필요가 있을까?
자신의 ‘스트레스 임계점’을 찾는 데는 여러 요소가 있다. 가장 먼저는 타고난 체형이다. 손목이 굵고 뼈대가 두꺼운 체형이 있는가 하면, 마르고 가는 체형도 있다. 이런 유전적인 특성은 신체가 감당할 수 있는 부하량에 큰 영향을 준다. “한 사람에게 미세골절이나 관절 손상을 일으키는 하중이, 다른 사람에게는 오히려 뼈를 더 단단하게 만들기도 합니다.”라고 맥길은 말한다.
우리가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요소 중 하나는 코어 근육, 즉 몸의 중심을 이루는 등과 복부 근육이다.
맥길은 자동차 조립공들의 연구 결과를 인용한다. 이들은 매시간 무거운 짐을 여러 번 들어야 하는 작업자들이었는데, ‘지속 가능한 코어 근육’을 가진 사람들은 더 오랫동안 좋은 자세를 유지했고, 허리 부상도 적었다고 한다. “등 근육이 강한 사람들은 쉽게 피로해졌고, 결국 자세가 무너졌죠. 그냥 등으로 짐을 잡아당겨 버리면서 갑작스러운 부상이 반복적으로 일어났습니다.”
“반면 코어 근육이 강하고 지속력이 있는 사람들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었고, 심각한 허리 부상을 덜 겪었습니다.”
달리기를 할 때 관절을 보호하는 방법
수십 년간 가장 우려했던 활동은 웨이트 트레이닝이 아니라 달리기였다. 별다른 증거도 없이, 나는 오랫동안 포장도로와 산길을 달리다 보면 결국 무릎이 닳는다고 믿어왔다. 러닝 코치 셰인 벤지는 전 세계 엘리트 러너들의 움직임을 연구해왔다. 『The Lost Art of Running』의 저자인 그는 러닝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은 “얼마나 멀리 달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달리느냐”라고 말한다.
Adlibris edited by kcontents
이러한 러닝 습관을 바꾸는 데는 처음에는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바뀐다. “러닝은 머리로 하는 게임입니다. 소프트웨어를 다시 쓰는 거예요. 근육 기억이란 건 없어요. 뇌가 동작을 기억하는 겁니다. 움직임을 반복하면, 패턴도 빠르게 바뀝니다.” 벤지는 자신의 달리기 모습을 영상으로 찍어보는 것이 큰 동기부여가 될 수 있다고 추천한다.
결론적으로, 헬스장까지도 의식적으로 잘 달려가고, 필요한 만큼만 무게를 들며, 자신의 한계를 받아들이는 자세가 중요하다. 내 가장 친한 친구 중 한 명은 학교 시절 모든 운동부의 주장 출신이지만, 지금은 관절 상태 때문에 유산소 운동은 오직 일립티컬 머신으로만 해야 한다. 물론 그 친구가 럭비 경기의 승리와 패배, 팀워크 속의 짜릿함을 포기하고 나처럼 잘 돌아가는 관절을 택했을지는 모르겠다.
조서형, Phil Hilton gqkorea.co.kr
Why Protecting Your Joints Should Be Your Number-One Workout Priority
https://www.gq.com/story/joint-health-workout-1
KCONETNTS
댓글 없음:
댓글 쓰기